1. 동사의 형태와 수일치
- 주어자리의 동명사구, to부정사구, that절, what절은 항상 단수취급한다.
- 명령문은 항상 동사원형.
- 조동사 다음엔 항상 동사원형.
- 요청/제안동사 + that + 주어 + 동사원형. - 요청, 제안 등을 의미하는 동사 또는 이성적 판단을 나타내는 형용사 뒤에 오는 that절이 문맥상 당위성(~해야한다)를 나타내면 그 뒤 that절의 동사는 should가 생략된 동사원형을 쓴다.
요청 동사 | ask 묻다 / request 요청하다 / require 요구하다 / demand 요구하다 |
제안 동사 | suggest 제안하다 / recommend 권하다 |
명령동사 | order 명령하다 / urge 권고하다 / insist (~해야한다고) 고집하다 |
이성적 판단 형용사 | necessary 필요한 / imperative 반드시 해야하는 / essential 필수적인 / important 중요한 / crucial 결정적인 |
- be동사 다음엔 과거분사(p.p)나 현재분사(-ing)
- 조동사 have 뒤에 동사가 오는 경우 과거분사로 완료형 시제.
수일치
- 고유명사 -> 단수동사
- 동명사 / to 부정사 / 명사절 -> 단수 동사
- 복수 선행사 + 관계대명사 -> 복수 동사. 관계대명사 뒤의 동사는 수식하는 선행사에 수를 일치시킨다
- there + 복수 동사 -> 뒤에 복수주어. there + 동 + 명 구조에선 뒤에 오는 명사에 수를 일치 시킨다
- 주어 뒤에 수식어는 수일치에 관계없으니 잘 문장 구조를 파악하자
every/each + 단수 명사 | + 단수 동사 |
everything / everyone / everybody ('모든것'/ '모든 사람') | |
one / each / either / neither + the 복수 명사 (~중 하나 / 각각 / 둘 중 하나 / 어느 것도 아님) |
|
the number of + 복수명사 (~의 수) | |
a number of / lots of / many + 복수 명사 (많은 ~) | + 복수 명사 |
a variety of + 복수 명사 (다양한 ~) | |
a range of + 복수 명사 (다양한 ~ | |
숫자 + percent / theree-fourths(분수) | + of the [소유격] + 단수 명사 + 단수 동사 + of the [소유격] + 복수 명사 + 복수 동사 (of 뒤의 명사에 수 일치) |
part / half / some / any | |
most / the rest / all |
- the number of + 복수 명사에서 뒤에 단수 동사가 오는 경우는 단순히 수 자체를 나타내는 경우고 복수 명사가 오는 경우는 많은 ~ 로 해석되는 경우
2. 능동태 수동태
- 능동태 : 주어(행위의 주체)가 ~ 하다
- 수동태 : 주어(행위의 대상)가 ~ 되다. 당하다.
- 3형식 동사의 태 구분 -> 뒤에 명사(목적어)가 있으면 능동태. 목적어가 없으면 수동태
- 4형식 동사의 태 구분 -> 4형식 동사는 목적어를 2개 취하므로 명사 유무로 태 구분이 안된다. 해석으로 판단.
- 5형식 동사의 태 구분 -> 명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appoint, name, call, elect는 4형식 처럼 해석으로 판단함.
형용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5형식 동사 (make, consider, keep, leave, find)는 수동태 뒤에 목적격 보어로 형용사가 옴.
to 부정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5형식 동사(요청, 허락, 권고)는 수동태 뒤에 to 부정사.
3. 시제
- 과거시제와 어울리는 부사구 : 시간 + ago / last + 시점 / yesterday / recently. lately
- 현재 시제 : 일반적인 사실이나 반복되는 일을 나타냄
- 현재 시제와 어울리는 부사구 : normally, typically, usually, ordinarily, generally, commonly, regularly, routinely, periodically, every/each + 시간, often, frequently, currently 등
- 미래 시제 : 미레에 일어날 사건이나 상황에 대한 예상, 추측을 나타냄. will / may / can + 동사원형 / be going to + 동사 원형 / be to + 동사원형 모두 미래를 의미하는 표현임.
- 미래 시제와 어울리는 부사구 : next + 시점 / tomorrow / soon / shortly / in + 미래 연도 / starging[beginning, as of] + 미래시점
- 현재완료는 과거부터 지금까지 계속되거나 최근에 완료된 일을 나타냄.
- 현재완료 시제와 어울리는 부사구 : for[during, over, in] the past[last] + 기간 (지난 ~ 동안) / since + 과거 시점 명사 / since + 주어 + 과거동사 / up to now, so far / recently, lately
- 두개의 절로 구성되어 한 문장에서 과거시제를 쓰고 해당 시점보다 더 과거인 대 과거를 나타낼 때 had p.p를 씀.
- 시간, 조건의 접속사가 이끄는 부사절이 미래를 나타낼 때는 미래 시제 대신 현재 시제를 쓴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론트엔드 지식 - 프론트엔드 전반 (0) | 2020.11.27 |
---|---|
웹팩 바벨 요약 (0) | 2020.11.25 |
토익 문법 정리 - 접속사 (0) | 2020.09.01 |
토익 문법 정리 - 동명사 / to 부정사 / 분사 (0) | 2020.09.01 |
토익 문법 정리 - 품사 (0) | 2020.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