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토익 문법 정리 - 접속사

1. 부사절 접속사

- 등위접속사(and, but, or) 두 문장을 같은 구조로 연결

- 접속사와 전치사의 차이 : 접속사는 뒤에 주어 + 동사로 이루어진 문장이 오고 전치사는 뒤에 명사.

 

양보 이유를 나타내는 부사절 접속사

 

양보 although, though, even though, even if 비록 ~ 일지라도
while, whereas ~인 반면에
이유 because, now that, since, as ~ 때문에

시간 / 조건 / 목적 등을 나타내는 부사절 접속사

 

시간 while ~하는동안
as soon as ~ 하자마자
before ~ 전에
until ~ 할 때까지
when, as ~ 할 때
by the time ~ 할 때쯤에
after ~ 이후로
since ~ 한 이래로
조건 if, provided (that), providing (that)  만약 ~ 라면
once 일단 ~ 하면 (한 후에)
as long as ~ 하기만 한다면, ~이기만 한다면
only if ~ 하는 경우에만
assuming (that), supposing (that)  ~ 라고 가정하면
in case (that), in the event(that)  ~ 할 경우에 대비하여
unless ~ 하지 않는다면
기타 so (that), in order that ~ 하기 위해서(목적)
so ~ that, such ~ that 너무 ~ 해서 ~ 하다(결과)
as if, as though 마치 ~ 인 것처럼
given that, considering (that) ~ 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whether ~ or (not) ~ 이든 아니듯

 

부사절 접속사와 뜻이 비슷한 전치사

 

  부사절 접속사 + 주어 + 동사 전치사 + 명사(구)
양보 although
though
even though
even if
비록 ~ 일지라도 despite
in spite of
notwithstanding
~에도 불구하고
이유 because
now that
since
~ 때문에 because of
due to
owing to
on account of
thanks to
~ 때문에(덕분에)
시간 while ~동안에 during ~ 동안에
조건 in case (that)
in the event (that)
~ 할 경우에 대비하여 in case of
in the event of 
~ 할 경우에 대비하여
unless ~ 하지 않는다면 without ~ 없이
목적 so that
in order that
~ 하기 위해서 for the purpose of
so as to + 동사원형
in order to + 동사원형
~ 의 목적으로
~ 하기 위해서
기타 except that ~ 라는 점 / ~ 할 때를 제외하고 except (for)
excluding
barring
~ 을 제외하고
as if
as though
assuming that
supposing that
마치 ~ 인 것처럼
~라고 가정하면
in addition to
plus
besides
~ 외에도
    instead of ~ 대신에
    regardless of ~ 와 관계없이
    unlike ~ 와 달리
    ahead of ~ 보다 앞서

 

- 접속 부사는 마침표로 끝난 앞 문장의 내용을 부가 설명하는 부사로, 한 문장 안에서 두 문장을 하나로 연결할 수는 없다. 따라서 두 문장을 연결할 때는 접속사 and나 세미콜론과 함께 쓰임

 

- 접속부사

 

however 그러나 nevertheless, nonetheless 그럼에도 불구하고
as a result, consequently 결과적으로 therefore, thus 그러므로
moreover, furthermore, besides, in addition, also 게다가 likewise 마찬가지로
if so 만약 그렇다면 otherwise 그렇지 않다면
then, thereafter 그리고 나서 afterward(s) 이후에
meantime, meanwhile 반면에, 동시에 rather 오히려
instead 대신에 on the contrary 대조적으로

 

- 접속사와 전치사 둘 다 쓰이는 어구

 

부사절 접속사 + 주어 + 동사 전치사 + 명사(구)
before ~ 전에 before, prior to ~ 전에
after ~ 후에 after, following  ~ 후에
until  ~ 까지 until ~ 까지
considering (that) ~ 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considering ~ 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since ~ 이래로, ~ 때문에 since ~ 이래로 (때문에라는 뜻은 못씀)
as ~ 때문에, ~ 할 때, ~ 대로 as ~ 로서(자격)

 

-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절 접속사when, while, before, after는 주절과 동일한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를 분사로 바꿔 축약 형태로 쓸 수 있다. 이때 분사는 능동이면 현재분사, 수동이면 과거분사를 씀.

- 축약구조와 연계하여 while과 during을 구별하는 문제가 나옴. while은 뒤에 주어 + 동사인 문장이 오거나, 주어가 생략된 경우 분사가 오고 during은 뒤에 명사가 온다. 동명사도 올 수 없음.

 

- 복합관계부사 wherever, whenever, however은 접속사 역할을 한다.

- whenever, whereever 뒤에는 완전한 문장이 오고 however 뒤에는 형용사/부사 + 주어 + 동사가 온다.

- wherever = no matter where / whenever = no matter when = every time / however = no matter how

 

 

2. 명사절 접속사

- that과 what은 둘 다 ~것 이라는 뜻이라 해석으로 구분 못한다. that 뒤에는 완전한 구조의 절이 오고, what 뒤에는 불안전한 구조의 절이 오므로 이걸로 구분함.

- 단 선행 명사를 뒤에서 수식하는 관계대명사 that은 뒤에 불완전한 구조의 절이 옴.

 

- whether과 if 구분

- if는 뒤에 A or B 못옴. to 부정사 못옴. whether은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 뒤 다 되는데 명사절 접속사 if는 타동사의 목적어로만 쓰임.

- 뜻은 둘 다 ~ 인지 아닌지라는 의미로 구분없음

 

- 명사절을 이끄는 의문사

 

의문 대명사 + 불완전 문장 who 누가 ~ 하는지
what 무엇이 ~ 하는지
which 어떤 것이 ~ 하는지
의문 형용사 + 명사 which + 명사 어떤 + 명사
whose + 명사 누구의 + 명사
what + 명사 무슨 + 명사
의문부사 + 완전한 구조의 절 when 언제 ~ 하는지
where 어디서 ~ 하는지
how 어떻게 ~ 하는지
why 왜 ~ 하는지

 

- 복합 관계 대명사

- whoever, whetever, whichever는 ~든지 의 의미로 명사절과 부사절을 모두 이끌 수 있다.

- 복합관계대명사는 선행사+관계대명사로 자체에 선행사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불완전 구조의 문장을 동반한다.

 

 

3. 형용사절 접속사

 

- 선행사 종류에 따른 관계 대명사 선택

선행사 주격[+동사] 소유격 [ + 무관사 명사 ]  목적격[ + 주어 + 동사 ]
사람 명사 who / that whose whom / that
사물 명사 which / that whose which / that
선행사 없음 what   what

 

- 관계 대명사 자리 뒤에 주어가 없고 동사가 바로 오면, 관계사절에서 주어 역할을 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를 쓴다. 주격 관계대명사 뒤에 오는 동사의 수와 태는 선행사에 따라 결정된다.

- that은 콤마 뒤나 전치사 뒤에 쓰일 수 없다!

- 소유격인 whose 뒤에는 완전한 문장이 온다. (주어에는 관사, 소유격이 없는 명사)

- 목적격 (whom / that / which ) 뒤에는 주어 + 타동사 / 주어 + 자동사 + 전치사(목적어가 필요한 경우) 의 불완전 형 문장이 온다

- what이 "~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가질 땐 스스로 선행사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형용사절을 이끄는 다른 관계 대명사와 달리 선행사 없이 명사절을 이끈다.

- 관계 대명사 that은 뒤에 불완전 문장이 오고,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은 뒤에 완전한 문장이 옴.

 

- 관계 부사 (where/when/why/how) 뒤에는 완전한 문장이 온다.

- 선행사 the way와 관계부사 how는 함께 쓰이지 못함.

- 전치사 뒤에는 관계부사가 올 수 없고 which / whom으로 대체함. (이 두개는 사물 / 사람으로 구분) => which / whome 앞에 전치사가 있으면 관계부사 역할로 쓰이므로 뒤에 완전한 문장이옴.

- 선행사의 일부나 전체를 나타낼 때는 [선행사+수량표현+of+목적격 대명사] 형태로 씀. (half of which)

 

- 주격 관계대명사 뒤에 be동사가 오는 경우 [주격 관계대명사 + be동사]를 함께 생략할 수 있다. 생략된 뒤에는 분사가 선행사인 명사를 뒤에서 수식하는 구조가 된다. [선행사 + who/which / be동사 + V-ing / p,p => 선행사 + V-ing / p,p]

- 관계대명사 뒤에 일반동사가 오는 경우 주격 관계대명사를 생략하고 일반동사를 분사로 전환함. [ 선행사 + who/which + 일반동사 => 선행사 + 일반동사의 -ing / p,p ]

- 목적격 관계대명사(whom/which/that) 은 단독으로 생략가능함.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론트엔드 지식 - 프론트엔드 전반  (0) 2020.11.27
웹팩 바벨 요약  (0) 2020.11.25
토익 문법 정리 - 동명사 / to 부정사 / 분사  (0) 2020.09.01
토익 문법 정리 - 동사  (0) 2020.08.31
토익 문법 정리 - 품사  (0) 2020.08.31